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는 것은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소리가 자주 나거나 가스가 많이 차면 불편하고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배속 가스는 왜 생기는 걸까요?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는 이유와 배속 가스 제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공복일 때 위에서 음식물을 밀어내기 위해 수축하는 ‘공복 수축’ 현상 때문입니다. 이때 위에 남아 있는 음식물 찌꺼기나 공기가 십이지장으로 넘어가면서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소리는 의학적으로 '장음 항진증’이라고 하며, 장의 연동운동이 제대로 되지 않아 공기가 섞이면서 발생합니다.
공복 수축은 일반적으로 배가 고플 때 꼬르륵 소리가 난다고 생각하는 원인이며,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공복 수축은 배가 고프면, 배꼽시계가 울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니까요. 하지만 종종 배가 고프지 않은데도 꼬르륵 소리가 날 때가 있습니다. 이는 장 건강이 악화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둘째는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장에서 세균에 의해 발효되면서 가스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때 장의 연동운동이나 복부팽만으로 인해 가스가 방귀나 트림의 형태로 배출되면서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소리는 의학적으로 '장음 감소증’이라고 하며, 장의 운동이 느려지거나 멈추면서 발생합니다.
장음 감소증은 주로 장 기능이 약하거나 수분이 많거나 몸이 찬 사람에게 나타납니다. 또한 기름진 음식을 자주 섭취하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에도 장음 감소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음 감소증은 위장병이 있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장음 감소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과민성대장증후군, 크론병,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입니다
배속 가스 제거 방법
식단 변경: 일부 음식은 소화 시스템에서 과도한 가스 생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콩, 렌즈콩, 양파, 양배추, 브로콜리, 탄산 음료의 섭취를 피하거나 제한하면 가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천천히 먹고 음식을 잘 씹으면 삼키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어 가스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가스제거제를 복용: 시메티콘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는 제품이 효과적입니다. 시메티콘은 가스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서 가스의 방울이 작아지게 하고, 소변으로 배출되도록 도와줍니다4. 시메티콘 단일성분 의약품으로 까스앤프리 츄정이 있으며, 물 없이 씹어 복용할 수 있습니다.
수분섭취: 수분을 유지하면 시스템을 씻어내고 가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루에 적어도 8잔의 물을 마시는 것을 목표로 하십시오.
운동: 걷기 또는 부드러운 요가와 같은 신체 활동은 장을 통해 가스를 이동시키고 불편함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온찜질: 따뜻한 수건이나 온열 패드를 복부에 대면 소화기 계통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가스 배출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복부 마사지: 복부를 시계 방향으로 부드럽게 마사지하면 가스를 이동시키고 불편함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요가: 무릎에서 가슴까지 자세, 고양이 소 스트레칭, 앉아서 앞으로 구부리기와 같은 특정 요가 자세는 가스를 완화하고 소화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배에 가스 빼는 운동
양팔벌려 복부늘리기: 발을 어깨 2배 너비로 벌리고 양팔을 쭉 벌린 후, 복부에 힘을 준 상태로 오른쪽과 왼쪽으로 번갈아 내려갑니다.
골반 밀고 돌리기: 발을 어깨너비로 벌리고 양손으로 허리를 잡은 후, 왼쪽과 오른쪽으로 반동을 주듯이 밀어줍니다. 그 다음 허리를 똑바로 펴고 골반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크게 돌립니다.
자에 앉아 복부 비틀기: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편 후, 오른쪽 다리를 왼쪽 무릎에 올려 다리를 꼬아줍니다. 몸은 다리 반대 방향으로 트고, 복부에 힘을 준 다음 10초 동안 유지합니다. 반대쪽도 똑같이 반복합니다. 이 운동은 장운동을 원활하게 해주고 혈액순환을 돕습니다.
이상으로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는 이유와 배속 가스 제거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화차 효능 및 부작용 소개합니다 (0) | 2023.03.28 |
---|---|
사랑니 발치후 식사 운동 및 음식, 통증 관리 (0) | 2023.03.27 |
목 쉬었을 때 쉰 목소리 나는 이유 확인하세요 (0) | 2023.03.26 |
다래끼 나는 이유 빨리낫는법 소개합니다 (0) | 2023.03.26 |
귀가 먹먹할때 한쪽 귀 먹먹 원인 살펴보세요 (0) | 2023.03.26 |